NAT & Bridge
외부네트워크랑 내부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법에는 총 3가지 방식이 있다.
1.NAT
2.bridge
3.host-only
1.NAT
○ NAT을 사용하는 이유
① 공인IP주소 절약
② 외부네트워크(Internet)을 통한 외부 침입 방지(방화벽역활)
-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한다고 하면 각각의 PC마다 부여받은 IP주소 하나를 가지고 외부네트워크랑 인터페이스를 하는 것이다.
하지만 공인 IP주소는 그 수가 한정되어 있고 한 랜카드마다 하나씩 밖에 부여받지 않기 때문에 내부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사설IP주소를 만들어서 보다 많은 PC가 외부네트워크랑 연결되어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. NAT는 공인IP주소와 사설IP주소간의 변환 과정을 거치는 모듈을 사용한다.(IP주소공유기가 이 NAT방식을 채택해 여러PC와 하나의 공인IP주소를 공유하는 것이다.)
<사진 1>
-NAT의 이해를 돋기위해 그림으로 표현 한 것이 <사진 1>이다.
왼쪽의 사진을 보면 1개의 스위치가 두개의 PC와 연결되어있고 하나의 네트워크 망(60.60.60.1/8)에서 각각 다른 IP(네트워크는 같음)를 할당받았다.
-설정 방법
2.Bridge
Bridged방식은 NAT와 달리 사설IP를 사용하지 않고 호스트컴퓨터의 공인IP주소와 같은 대역대의 IP주소로 네트워크를 하는 방식이다. 즉, VMware의 네트워크 어뎁터가 호스트컴퓨터의 네트워크 어뎁터에 브릿지 하여(다리를 놓는다 == 연결한다)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이다.
하지만 이 방식은 일반 가정에서는 사용하기 힘들다.... 보통 일반 가정에는 하나의 IP주소만을 부여받기 때문에 이 방식을 사용할려면 2개이상의 IP주소를 할당받아야한다.